‘처가 단절’ 이승기 장인,
140억 챙겼다…
“유례 찾기 힘들다”

가수 이승기의 장인 이모 씨가 주가조작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검찰이 밝힌 피해 규모는 무려 140억 원. 단순한 단건이 아닌, 수차례에 걸쳐 조직적으로 이뤄진 시세조종 행각이 드러나면서 “유례를 찾기 어렵다”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
지난 15일,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는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이씨(58)를 포함한 13명을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중 8명은 구속 상태인데요.
이들은 2차전지, 신재생에너지, AI 로봇 등 최근 주목받는 첨단기술을 주가 부양 수단으로 내세워, 코스닥 상장사 3곳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띄우는 수법으로 총 140억 원에 달하는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은 가장 먼저 이차전지 소재 기업 ‘중앙첨단소재’부터 시작해 2022년 11월부터 약 1년간 시세조종 주문을 반복해 주가를 주당 490원에서 5860원까지 10배 이상 끌어올렸다고 합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 업체 ‘퀀타피아’에 대해서는 ‘1000억 원 규모 투자 확정’이라는 허위 공시를 내걸고 또 한 차례 주가를 부풀렸는데요.

이 과정에서 챙긴 금액은 60억여 원에 달합니다.
뿐만 아니라 주가가 급등한 뒤 거래정지라는 위기를 맞자, 이씨는 전직 검찰 수사관 A씨에게 “문제를 해결해달라”며 착수금 3000만 원을 주고, 성공보수로 10억 원을 약속했습니다.
결국 이 부분도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추가 기소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씨와 A씨는 이 사건의 본류라 할 수 있는 ‘라임 사태’ 관련 인물 이인광 에스모 회장의 해외 도피 자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손을 잡았습니다.

이후 ‘엑스큐어’라는 회사까지 끌어들여 AI 로봇 테마를 빌미로 3차 시세조종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검찰은 “이처럼 다양한 수법으로 시세조종과 사기적 부정거래, 미공개정보 이용까지 총망라한 범죄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며 “자본시장 질서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한 사건”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이들이 보유한 고급 차량과 부동산 등 30억 원대 재산은 현재 추징보전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한편, 이번 사건은 가수 이승기의 장인이 엮인 일로, 이승기는 지난 2023년 4월, “장인이 주가조작으로 피해자를 양산했다는 것은 명백한 오보”라고 반박했으나, 지난 달 29일 공식 입장을 통해 “처가와의 관계를 단절하고자 한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