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
11일까지 단일화 안 될 시 등록 포기
막대한 선거 비용 부담 추측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단일화 시한을 못 박은 것은 막대한 선거비용 부담을 피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한 후보는 지난 7일 서울 여의도에 마련된 ‘여러분의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저는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후보 등록 마감일은 오는 11일입니다.
이 시점을 넘기면 본후보 등록이 불가능하며, 무소속 후보로서 대선에 나설 경우 막대한 선거비용을 개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실제 대선을 치르기 위해서는 최소 300억 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일반적인 견해인데요.
중앙선관위는 이번 대선에서 법적으로 최대 588억5,281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지난 20대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431억 원, 국민의힘은 394억 원을 선거비용으로 보전받은 바 있습니다.
정당 소속 후보는 선거보조금, 경상보조금, 당비 및 후원금 등 다양한 자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소속 후보의 경우 선거운동을 위한 실질 자금 조달은 상당히 제한적입니다.
예비후보 신분으로 후원회를 통해 모금할 수 있는 금액은 전체 선거비용 한도액의 5%(약 29억4,000만 원)에 불과하고 그 외의 자금은 개인 부담해야 하는데요.
이 때문에 한 후보가 11일 이전 단일화를 고수하는 것은 단순한 정치적 유불리를 넘어, 현실적인 재정 부담을 고려한 판단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소속으로 본후보 등록을 마칠 경우, 선거비용 대부분을 당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한편,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 논의가 불발되자 김 후보를 맹비난했습니다.
한 후보는 “당 대표 마음대로 할 수 없냐고 불평하는 것은 구태 정치인이나 하는 행동”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